728x90
728x90
위대한 수업 다시 보기 링크 : https://www.ebs.co.kr/tv/show?prodId=411911&lectId=60109314
1강. 돈의 함정
돈과 행동 경제학이란?
- 행동 경제학 : 현재와 되고 싶은 모습 사이 격차를 줄이는 방법을 연구
- 돈의 본질은 기회비용 : 무언가를 살 때 대신 포기해야 하는 것
- 돈의 심리학 : 돈과 관련된 비이성적인 행동과 생각을 다룬다.
돈에 대한 실수 2가지
상대성의 함정
- 돈을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는 것 (할인률, 시간에 따른 가격 비교)
- 상대성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비교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가격으로 평가해라
공정성의 함정
- 전문 기술은 알기 어렵기 때문에 공정성(시간, 노력)으로 값을 매기는 것
- 공정성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유용성이나 가치로만 판단해라
돈과 행복
자신을 위해 돈을 쓰는 것보다 남에게 배풀 때 행복이 더 오래 지속된다.
2강. 감정의 가격
주제 : 돈과 감정
시간 선호 현상
- 선택의 결과가 현재에 멀수록 이성적 결정
- 현재에 가까울수록 감성적 결정을 하는 것
공짜 효과
- 공짜를 특별하고 매력적으로 느끼는 것
- 이 매력 때문에 손해를 보고 모르기도 한다
소유 효과
자신이 가진 것의 가치를 자신의 관점에서 판단하는 것
이케아 효과
- 소유효과의 다른 예
- 자신의 노력이 들어간 것에 더 큰 애정을 가지는 현상
3강. 지불의 고통
주제 : 돈과 관심
지불의 고통
- 돈을 쓰는 것에 주목하면 고통스럽다. (ex. 카드 결제 vs 현금 결제)
- 따라서 돈을 쓰는 것을 확인하지 않으면 돈을 더 많이 쓰게 된다.
(불필요한 소비를 하지 않으려면 고통을 느끼자?)
운영의 투명성
- 과정이 눈에 보이면 사람들은 더 돈을 내려 한다.
- 사람들은 쉽게 남이 한 일을 평가절하한다. 남에게 자신이 한 일을 알리자.
- 돈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면 좋은 동기부여가 된다.
4강. 관계의 가치
주제 : 돈과 사회규범
- 돈은 사회 규범(선의, 죄책감, 인간관계, 사명 등)을 변질시켜 시장 규칙으로 만들어버린다.
- 따라서 돈은 항상 효과적이지 않다. 경제적 효율성으로 사회적 효율성을 잃을 수 있다.
- 돈을 주는 것보다 사회적 관계를 따르는 것이 장기적 이득이 될 때가 있다.
5강. 동기 부여의 비밀
주제 : 돈과 동기부여
돈과 동기부여
- 돈은 항상 동기부여에 효과적이지 않는다. 오히려 스트레스 등의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.
- 돈은 항상 좋은 결과를 나오게 하는 것은 아니다. 이미 좋은 결과였다면 돈이 추가되도 달라지지 않는다.
→ 따라서 돈이 필요한, 효과적인 사람에게 돈을 얼마나, 어떻게 줄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.
다른 동기부여 수단
- 즐거움 이외에도 성취감등의 동기 부여가 있으며, 이는 내면과 연관되어 있다.
- 돈 이외에도 동기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은 많다. 올바른 동기 부여는 공짜 에너지를 얻는 방법이다.
(급여의 공정성, 직원의 감정, 비전, 처벌하지 않는 환경)
다음 위대한 수업 : 리처드 나스벳 - 생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?
또 언제든지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을 달아주시거나
화면 왼쪽 아래의 디스코드 아이콘을 누르면 실시간으로 답해드립니다.
(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에드 블록을 꺼주세요)
https://discord.link/3rd_way_education
또 위 링크를 눌러 제3의 교육 서버에 들어오시면
공부법, 특히 새로운 공부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위대한 수업 요약 > 댄 애리얼리-돈의 심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위대한 수업 요약] 댄 애리얼리 - 동기 부여의 비밀 (0) | 2021.10.21 |
---|---|
[위대한 수업 요약] 댄 애리얼리 - 관계의 가치 (0) | 2021.10.17 |
[위대한 수업 요약] 댄 애리얼리 - 지불의 고통 (0) | 2021.10.17 |
[위대한 수업 요약] 댄 애리얼리 - 감정의 가격 (0) | 2021.10.14 |
[위대한 수업 요약] 댄 애리얼리 - 돈의 함정 (0) | 2021.10.14 |
댓글